top of page
Artboard 15.png
bfdb595b-cc86-4f1a-851d-57ad9432a73b.png

​심혈관대사질환센터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 Center

History

131140.jpg

Publication

​논문 수

309편

​특허 수

69건

심혈관대사질환센터 copy 3.png

History

2007 - 2012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

심장 미토콘드리아 기능 연구

2010 - 2019

교육부 이공분야 중점연구소

심장 미토콘드리아 기능 조절 질병치료 전략

2020 - 2025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당뇨병성 심근병증 연구

2023 - 2029

핵심연구지원센터 지원사업

심장혈관대사질환 유효성평가 지원

2024 - 2029

글로컬대학 바이오메디컬센터

바이오메디컬 파운드리 플랫폼 구축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센터

1. 멀티오믹스, AI, 디지털트윈으로 여는 미래의학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를 차지하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하지만 최근,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센터는 첨단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심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 예방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멀티오믹스’, ‘AI 분석’, ‘디지털트윈’이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가 있습니다.

2. 멀티오믹스 기반 정밀의료

센터는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체, 대사체 등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멀티오믹스’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멀티오믹스는 환자 개개인의 분자 수준 정보를 다각도로 해석하여, 질병의 원인과 진행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 예측, 조기 진단, 맞춤형 치료법 개발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3. AI 분석으로 한계 극복

방대한 멀티오믹스 데이터는 기존 방식으로는 해석이 어렵지만,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센터는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플랫폼을 도입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AI는 데이터 내 숨겨진 패턴과 상관관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어, 임상적 의사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특히,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예측 모델은 환자별 위험도 평가와 치료 반응 예측의 정확도를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4.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하는 미래의학

센터의 또 다른 혁신은 ‘디지털트윈’ 기술입니다. 디지털트윈은 실제 환자의 생체 데이터와 임상정보,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상공간에 환자와 동일한 디지털 복제체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다양한 치료 시나리오를 미리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고,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을 안전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트윈은 심혈관 질환 관리의 새로운 표준이 되고 있습니다.

5. 미래를 여는 융합연구 허브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센터는 임상, 기초, 데이터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융합연구를 펼치는 허브입니다. 센터는 국내외 연구기관,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심혈관 질환 극복을 위한 혁신적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첨단 멀티오믹스, AI, 디지털트윈 기술을 선도적으로 도입한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센터는
‘정밀의료’와 ‘예방의학’의 미래를 현실로 만들고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 극복의 새로운 길, 그 중심에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센터가 있습니다.

Member

​참여연구자

연구원

학생연구원

심혈관 대사질환센터

멀티오믹스, AI 분석, 디지털트윈 등 첨단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심혈관 질환의 진단, 치료, 예방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체, 대사체 등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환자 개개인의 분자 정보를 정밀하게 해석하고, AI 기반 분석 플랫폼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해석하여 맞춤형 치료와 조기 진단, 위험 예측의 정확도를 높입니다. 또한 실제 환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트윈 기술로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치료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여 환자 맞춤형 전략을 안전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임상, 기초, 데이터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융합연구를 펼치며,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심혈관 질환 극복을 위한 혁신적 솔루션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센터는 정밀의료와 예방의학의 미래를 현실로 만드는 심혈관 연구의 중심입니다.

KakaoTalk_20250417_150112754.png

​심혈관 및 대사질환 핵심연구지원센터

CORE(CardiovascuIar and MetaboIic Disease Research Supporting Center)는 인제대학교 심혈관 및 대사질환 핵심연구지원센터로 의생명 · 의료기기 공동 장비활용 및 연구를 위한 센터입니다.

핵심2.jpg

​멀티오믹스 AI

멀티오믹스는 다양한 생물학적 계층(유전체, 전사체, 후생유전체, 단백질체, 대사체 등)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해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인공지능(AI)과 결합하면서 멀티오믹스 분석은 의료, 신약 개발, 정밀 의학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images-that-simulate-x-rays-with-neon-colors.jpg

빅라이프 디지털 트윈 코호트
[Biglife Cohort]

BIG LIFE 디지털 트윈 코호트는 김해시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다중오믹스 기반의 정밀 건강 데이터 코호트입니다.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 등 생물학적 데이터를 비롯해 식이, 운동, 생활습관, 환경 정보 등 다양한 개인 건강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질병 예측 및 예방, 정밀의료 기술 개발, 공공 보건정책 수립 등 다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차세대 헬스케어 인프라입니다.

KakaoTalk_20250417_135552553.png

​인제대 글로컬대학 바이오메디컬센터

인제대학교 글로컬대학 30은 지역사회와 대학이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모델로, 지역 경제와 교육을 동반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올시티캠퍼스'를 통해 교육과 산업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KakaoTalk_20250417_145033474.png

​경남김해강소특구

인제대학교 빅드림웰바이오사업단은 경남김해강소특구에서 의생명 의료기기 R&BD 허브로 성장하기 위해 출발하여 기술창업과 기업 혁신 성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제대학교와 김해시가 협력하여 김해를 웰바이오 시티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KakaoTalk_20250417_135903146.png

​인제대학교

인제대학교는 지식과 학문 탐구라는 대학의 본연의 사명을 완수하며, 연구와 교육인프라, 글로벌 인재 양성을 통해 국가와 사회로부터 인정받는 명문사학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사회로부터 인정받고 신뢰받는 대학, 마음을 다하는 봉사와 교류를 통해 사랑받는 대학, 지혜로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 민족의 대학 · 세계의 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해 쉼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KakaoTalk_20250417_144742238.png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우리나라 의학교육을 선도하는 대학이 되기 위하여 노력해 왔으며, 2012년 제2주기 의과대학 평가인증에서 교육목표 및 교육과정 우수기준을 완전히 충족한 유일한 대학으로 인정받으면서 우리나라 최고의 의학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지난 2020년 평가인증에서도 인증기간 6년을 획득하며 교육의 우수성을 증명하였습니다.

KakaoTalk_20250417_144239213.png

Linked Site

CORE copy.png

CORE

인제 구형.png

​심혈관 대사질환센터

강소특구 copy.png

경남김해강소특구

인제 신형 copy.png

인제대학교

Artboard 2-100.jpg

인제대 글로컬대학 30

백병원 copy.png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Collaboration

Artboard 23 copy.jpg
Artboard 23.jpg
Artboard 23 copy 6.jpg
Artboard 23 copy 4.jpg
Artboard 23 copy 5.jpg
Artboard 23 copy 2.jpg
Artboard 23 copy 3.jpg
Artboard 23 copy 7.jpg
bottom of page